본문 바로가기
전문상담 스터티/상담이론과 실제

제1장 상담자 윤리6

by Stellaid 2023. 8. 10.

01. 사전동의의 정의, 필요성, 조건을 서술하시오.

사전동의 정의 :

상담자가 상담에 대해 충분하고 적절하게 설명한 것에 근거하여 내담자가 상담에 참여하기로 동의하는 것

상담교사가 상담에 대해 충분하고 적절하게 설명한 것에 근거하여 학생이 상담에 동의하는 것을 말한다. 상담에 관한 설명을 통해 상담교사는 학생이 상담에서 무엇을 얼마만큼 말할 것인지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도록 돕는다.

상담 설명 후 참여 동의

사전동의 절차의 필요성 또는 효과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권리와 상담자의 책임을 알게 하고, 자신의 자율성과 힘을 인식하게 한다.

내담자가 자신이 받을 상담에 대해 충분히 서명을 들은 후 상담에 참여하기로 동의하면 상담과정에 기꺼이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도 갖게 되어 상담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

상담에 대한 설명을 들음으로써 내담자는 상담자에게 무엇을 얼마만큼 말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스스로 결정 하여 자신의 삶, 특히 사생활에 피해를 입을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내담자 권리, 상담자 책임 알게/ 상담 동기와 책임감 /자율성과 힘에 인식

사전동의의 조건 :

합리적 사고능력, 설명에 대한 이해능력, 자율적 의사결정능력(미성년자, 정신증 보호자 0)

상담내용을 녹음/녹화하기에 앞서, 학생과 학부모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거부할 경우, 학생 도는 학부모의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

반응형

사전동의를 받았다고 하더라도 상담내용에 대한 비밀을 보장하고 학생을 위한 목적에만 활용해야 한다.

사전동의가 합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요건

내담자가 심사숙고하여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

상담자가 설명하는 내용을 내담자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내담자가 자유롭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포함내용 : 상담의 성격/비밀보장과 비밀보장 예외 상황/ 상담을 거부하고 종결할 권리/ 상담 참여에 따르는 잠재 적 이익(사고방식, 정서행동벼화)과 위험(정서적 혼란, 대인관계와 해발생가능성) 상담에 대한 대안 / 필 요시 연락방법 /검사결과/진단 및 상담기록에 대해 알권리/ 상담내용의 녹음과 그에 따른 조치/ 내담자 로서 너의 적극적이고 솔직한 참여/ 상담의 진행 방식까지 / 매주 규칙적 1회 정도 진행, 50분 정도.

사전동의 방식

구두방식 구두로 내담자에게 상담에 관한 중요한 사항들을 설명한 후 설명한 내용에 대해 상담일지에 기록해 두는 것
장점 : 상담자가 각 내담자의 개별적인 욕구에 맞춰 사전동의를 얻는 데 필요한 정보를 인간적으로 말해 줄 수 있다.
단점 : 내담자들이 한꺼번에 여러 가지에 대해 들어서 너무 많은 정보 때문에 혼란을 일으켜 상당 부부 잊어버릴 수 있다.
서면방식 상담자가 사전도의 양식을 미리 만들고 놓고 그 내용을 내담자에게 일어 주면서 필요한 부분에 대해 보충 설명을 하고 내담자의 이해 여부를 확인한 후 내담자의 서명을 받는 것
장점 : 상담 절차를 문서로 보관하고, 실시하기가 보다 쉬우며, 사전동의 절차를 타당하고 신뢰할 만하게 할 수 있다.
단점 : 상담자들은 서면으로 된 양식에 너무 지나치게 의존하여 내담자가 그 자료들을 수중에 갖고 있으면 사전 동의 절차를 다 이행된 것으로 잘못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