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누친(S.Minuchin)의 구조적 가족상담 합류를 위한 다음 기법에 조건
① 유지하기/ 적응하기(개념, 예2가지, 효과)
-치료자가 기존의 가족구조를 의도적으로 지지해주는 기법
-유지는 가족의 전체 구조뿐만 아니라 가족의 하위체계에 대한 적극적인 승인과 지지를 포함한다.
-항상성의 원리로 불안과 저항 발생 : 치료자는 가족교류의 법칙을 존중하고 그것에 따르려고 시도함으로 가족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구조를 유지하도록 존중해 주는 것
-부드러운 말씨와 세심한 배려를 보여 주며 구체적 질문을 한다.
(예 : 개인의 장점을 인정하고 지지하는 것, 특정 가족원 위치를 지지하는 것 ... )
-가족상담자가 가족의 주고를 분석할 때 의도적으로 현재의 구조를 지지하는 것
-가족의 하위체계에 대한 승인, 적극적 지지와 함께 구성원 개개인의 강점과 잠재능력을 확인하여 지지함
-필요한 경우 구성원의 가조 내 지위를 강화하기도 함.
-개념 : 가족구조 의도적으로지지
-예: 가족원 장점 인정과지지 / 특정 가족원 위치지지/ 침묵 수용 및 존중 / 가족의 의사소통 패턴, 표현방식 그대로 사용
-효과 : 재구조화 필요성 인식
② 추적하기/따라가기(개념, 예2가지, 효과)
-치료자가 가족의 의사소통과 행동의 내용을 따라가고 그것이 계속되도록 격려하면서 가족에 합류하는 기법
-기존의 교류의 흐름에 거슬리지 않고 따라 가는 것
㉠가족들의 대화 내용을 추적해 가면서 가족들의 상호작용과 구조를 탐색하는 것
㉡가족의 증상, 행동, 의사소통, 관심, 가족의 주제, 혹은 비언어적 은유를 찾도록 도와준다.
㉢가족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가족들이 상호작용헤 참여할 뿐 아니라 가족구성원이 참여를 유도하는 말을 한다.
㉣지도자의 역할과 약간의 촉진자의 역할을 섞어서 하는 방법 – 명료화하는 질문을 하는 것, 인정해 주는 말을 하는 것, 혹은 가족들이 말한 것 반복하기 등이 포함된다.
-추적하기는 비지시적 치료자가 가족에 합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형적인 방법 : ‘음, 예, 네…’, ‘아, 그렇군요’라는 말을 하면서 가족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계속하도록 격려하는 것
-가족이 하는 이야기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질문하고, 가족이 말한 내용을 추적하여 핵심을 파악하는 작업
-상담자는 추적을 하는 동안 가족의 이야기에 도전하거나 직면하지 않고, 그들의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언어적ㆍ비언어적 방법으로 전달하면서 가족이 이야기를 지속하도록 유도함
-추적을 통해 상담자는 보다 많은 정보를 찾고 가족 구성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음
-개념 : 치료자가 가족 의사소통과 행동을 그대로 따라가면서 계속되도록 격려
-예 : “음… 예… 네… 아, 그렇군요” / 치료실 가족간 상호작용 질문 “집에서 00이는 이렇게 행동하나요? 그럴 때 어머니는 어떻게 하시나요?”
-효과 : 재구조화 필요성 인식
③ 모방하기/흉내내기(개념, 예2가지, 효과)
-치료자가 가족의 생활방식과 정서상태에 적응하기 위해 가족이 사용하는 언어, 몸짓, 대화방식 등을 그대로 따라 하는 기법
-치료과정에서 가족의 경험과 동일한 자신의 경험을 강조하여 말하는 것도 모방이다.
-가족들은 치료자의 흉내내기 행동으로 인해 동질감을 느끼고 마음을 열 수 있음
-가족의 의사소통 방식과 내용을 모방하고 공통된 경험을 이야기함으로써 가족에 합류하는 방법
(예: 가족이 사용하는 언어, 몸짓, 대화 따라하기)
-모방을 통해 상담자는 가족 구성원과 동질감을 형성하고 가족의 친밀감을 확보할 수 있음
-개념 : 가족이 사용하는 언어, 몸짓, 대화방식 따라하거나 가족원 경험에 동일한 경험 말해주기
-예 : 느릿느릿 반응하는 가족원에게 느릿느릿 반응하기/ 자신의 아내가 “성격이 ~ 해요”라고 말하는 내담자에게 제 아내도 “성격이 ~해요”라고 말하기
-효과 : 재구조화 필요성 인식
<합류의 기술 사용한 사례 >
어머니 : 진숙이가 컴퓨터를 너무 많이 해서 문제예요.
상담교사 : ㉠아, 그렇군요. 그럴 때 어머니는 어떻게 하시죠?
어머니 : 뭐, 혼내기도 하고, 달래기도 하지만 별 효과가 없어요.
상담교사 : ㉡그래도 어머니는 진숙이를 도와주려고 애를 많이 쓰고 계시네요.
진 숙 : (고개를 가로저으며) 저는 엄마가 그러는 게 싫어요. 그냥 내버려 두면 제가 알아서 할텐데.
상담교사 : ㉢(진숙을 따라 고개를 가로저으며) 엄마가 내버려두었으면 좋겠구나.
어머니 :(상담교사에게) 자식이 종일 게임만 하는데 어떻게 그냥 내버려둘 수 있겠어요?
상담교사 : ㉣저도 우리 아이들이 놀관 있으면 그냥 내버려두기 어렵더라구요.
아버지 : 제 생각에는 애 엄마가 평소에 너무 잔소리를 많이 해서 문제인 것 같아요.
상담교사 : 그러면 평소에 진숙이가 집에서 컴퓨터를 하고 있을 때, 가족들이 실제로 어떻게 대화를 하는지 지금 여기에서 해 보시겠어요?
'전문상담 스터티 > 가족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 가족상담 :문제의 외재화, 접근방법 : 후기 구조주의 , 사회구성주의 (1) | 2023.09.09 |
---|---|
가족스트레스 이론 (0) | 2023.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