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
[ group counseling , 集團相談 ]
집단상담 |
집단상담은 개인상담과는 달리 집단 속에서, 그리고 집단에 소속된 개인 사이에서 끊임없이 역동적인 상호 교류를 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집단상담은 각자의 대인관계적인 감정과 반응 양식이 집중적으로 탐색, 명료화, 수정되고, 그 결과가 확인되는 계속적인 절차와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 같은 집단역동을 통해 집단상담의 효과가 결정된다는 점은 집단상담과 개인상담의 큰 차이점이 된다. 집단상담은 주로 집단구성원이 자의로 문제를 제기하고 다루며, 집단상담자는 이러한 분위기와 과정을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하면서 상담자에 의한 지도나 해석은 최대한 줄이는 것이 효율적이다.
집단상담의 주된 강조점은 치료보다는 성장과 적응에 주어지므로 이를 촉진하기 위해 상담집단의 분위기는 신뢰할 만하고 수용적이어야 한다. 즉, 의미 있는 성장과 행동 변화를 이루기 위해 집단구성원의 개별 속성에 상관없이 하나의 존엄성을 가진 인간으로 받아들이고 집단구성원 간에는 반드시 무조건적 수용을 해야 하는데, 이는 집단의 신뢰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라는 용어로 중시된다. 집단상담자가 집단상담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성격과 변화에 대한 전반적 이해 및 집단역동에 관한 광범위한 이해, 그리고 타인과의 정확한 의사 및 감정 소통의 능력이 필요하므로 전문적인 훈련을 거쳐야 한다.
개인상담과 달리 집단상담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얄롬(Yalom, 1985)은 대인관계 학습-투입, 대인관계 학습-산출, 정화, 응집력, 이타주의, 보편성, 자기 이해, 희망 고취, 지도, 동일시, 가족생활 관계 재연, 실존의 12개 요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블로흐 등(Bloch et al., 1979)은 수용, 이타주의, 감정정화, 지도, 희망고취, 대인관계 학습, 자기노출, 자기이해, 보편성, 관찰학습의 10개 요인을 제시한 바 있다.
한편, 집단상담은 구분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집단상담과정이라는 틀의 구체화 정도에 따르면 사전에 틀이 구체적으로 정해진 구조화 집단, 사전체계와 계획이 없는 비구조화 집단, 그리고 중간 정도의 구조를 지닌 반구조화 집단으로 구분된다. 집단회기 구성을 기준으로 하면 자는 시간과 식사 시간을 제외한 모든 시간을 집중적으로 집단상담에 사용하는 마라톤 집단과 매주 한 번 혹은 두 번 등 정기적으로 집단회기를 갖는 정기집단, 두 형식을 절충하여 매주 모이되 중간 혹은 마지막에 1박 2일 정도의 마라톤 집단을 병행하는 절충적 집단으로 구분된다.
집단지도
집단구성원이 정보를 획득하고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교육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과정. 집단지도는 정보와 자료의 제공을 통해 바람직하고 건전한 학습 및 생활태도의 촉
terms.naver.com
치료적 요인
집단경험을 통하여 참가자의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 → ‘치유적 요인’ 참조.
terms.naver.com
출처
'전문상담 스터티 > 집단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단상담자 리더 유형 (0) | 2023.08.25 |
---|